[교과과정] 영어과 교육과정 체제 및 운영지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4:14
본문
Download : [교과과정] 영어과 교육과정 체제 및.hwp
편성, 운영 지침 (부산광역시 교육청) 라. 영어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계성 마. 방과 후 활동과 연계성 2. 편성 및 운영상 문제점 가. 성취기준 나. 소재 다. 학년 군(선택교과목), 언어기능, 영역, 학습내용 성취기준 개발 및 학습활동의 예를 제시하고 중학교-고등학교 간 및 각 선택교과목에 연계․적용될 수 있는 공통의 영역 및 학습내용 성취기준 추출․활용을 통한 연계성 도모하였다.
‘의사소통 기능’, ‘언어 형식’ 관련 교육 내용의 구체화 및 체계화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단계 및 언어 기능별로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편성, 운영 지침 (부산광역시 교육청)
설명
초3,4/초5,6/중1,2,3/고1,2,3(영어) 학년군간 구분을 하였으며 초․중․고교 학교 급 및 학년 군 별 교육과정 내용의 연계성 강화 및 학습 격차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가. 특징
라. 영어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계성
나. 소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가. 성취기준
1)학교급간, 학년군간, 교과목간 교육과정 연계성 강화
![[교과과정] 영어과 교육과정 체제 및-656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2/%5B%EA%B5%90%EA%B3%BC%EA%B3%BC%EC%A0%95%5D%20%EC%98%81%EC%96%B4%EA%B3%BC%20%EA%B5%90%EC%9C%A1%EA%B3%BC%EC%A0%95%20%EC%B2%B4%EC%A0%9C%20%EB%B0%8F-6562_01.jpg)
![[교과과정] 영어과 교육과정 체제 및-656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2/%5B%EA%B5%90%EA%B3%BC%EA%B3%BC%EC%A0%95%5D%20%EC%98%81%EC%96%B4%EA%B3%BC%20%EA%B5%90%EC%9C%A1%EA%B3%BC%EC%A0%95%20%EC%B2%B4%EC%A0%9C%20%EB%B0%8F-6562_02_.jpg)
![[교과과정] 영어과 교육과정 체제 및-656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2/%5B%EA%B5%90%EA%B3%BC%EA%B3%BC%EC%A0%95%5D%20%EC%98%81%EC%96%B4%EA%B3%BC%20%EA%B5%90%EC%9C%A1%EA%B3%BC%EC%A0%95%20%EC%B2%B4%EC%A0%9C%20%EB%B0%8F-6562_03_.jpg)
![[교과과정] 영어과 교육과정 체제 및-656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2/%5B%EA%B5%90%EA%B3%BC%EA%B3%BC%EC%A0%95%5D%20%EC%98%81%EC%96%B4%EA%B3%BC%20%EA%B5%90%EC%9C%A1%EA%B3%BC%EC%A0%95%20%EC%B2%B4%EC%A0%9C%20%EB%B0%8F-6562_04_.jpg)

Download : [교과과정] 영어과 교육과정 체제 및.hwp( 85 )
3)실제적 영어 사용능력 향상을 위한 실용영어 교육 강화
1.영어과 교육과정의 체제 분석 가. 특징 나. 기본방향 다. 선택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수준, 필요에 부합하고, 진로․진학별 特性을 고려한 영어교육이 이뤄질 수 있는 수준별 선택과목을 (기본-일반-심화과목) 설계․개발하였다. 의사소통 참고자료
순서
2. 편성 및 운영상 문제점
다.
나. 기본방향
.영어과 교육과정의 체제 分析
[교과과정] 영어과 교육과정 체제 및 운영지침
가. 특징
참고자료
다. 의사소통
마. 방과 후 활동과 연계성
교과과정,영어과 교육과정 체제, 영어 운영지침
2)교육과정 내용의 적정화를 통한 학습부담 경감 및 창의성과 인성 함양 도모
1.영어과 교육과definition 체제 분석
다. 말하기, 쓰기의 표현 기능 향상을 위한 성취기준 추출 및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를 보강하였으며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에 중점을 둠으로써 실제적 영어 사용능력 중심의 실용영어 교육을 강화하였다. 공통 교육과정에서는 기본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필수학습내용(성취 기준 및 어휘 등) 조정 및 성취기준의 양과 수준 적정화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