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인정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18:44
본문
Download : 창덕궁 인정전.hwp
이러한 건축 양식을 통하여 우리는 전통목조건축물(傳統木造建築物)을 보면 정확히는 몰라도 어느 시대의 건축물인가는 알 수 있으…(skip)
우리나라 목조 건축물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들을 창덕궁의 인정전을 예로 들어 說明(설명) 한 보고서입니다. 기둥은 배흘림식으로 기둥 가운데가 상·하보다 4寸가량 굵어 볼록하게 보인다. 이 방식은 매우 화려하게 보이므로 현재까지도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아 마지막으로 익공(翼工)식 건축은 주로 궁궐이나 사찰의 부속건물에 쓰여진 방식을 일컫는다.






설명
창덕궁인정전
창덕궁 인정전
레포트/공학기술
다.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우리나라 목조 건축물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들을 창덕궁의 인정전을 예로 들어 설명한 보고서입니다. 대표적인 건물로는 국보 15호인 봉정사·극락전(경북 안동군 서후면)으로 12세기경에 지어진 건물인데 우리나라 목조건물로는 최고 오래된 건물이다. 공포(건물의 멋을 내기 위해 처마 밑에 뛰어 나온 구조물)가 기둥 상부에만 돌출되어 있고 기둥과 기둥사이에는 없다. 그럼 한번 알아보기로 하자.
우리나라 목조 건축물은 우리나라의 유구한 歷史(역사)에 걸맞게 다양한 건축 양식을 지니고 있다아 우리나라 전통목조건축물에는 세 가지 양식이 있는데 ㉠주심포(柱心包)식 건축물 ㉡다포(多包)식 건축물 ㉢익공(翼工)식 건축물이 있다아 우선 주심포(柱心包)식 건축은 삼국시대에서 고려시대까지의 건축양식이다. 기둥은 민흘림식으로 기둥의 상·중·하 모두의 굵기가 같다. 지금 현존하는 궁궐, 사찰의 대부분이 이 방식이다. 다포식 건물은 주심포식 건축에서 기둥 상부에만 공포를 짜 올리던 방법과는 달리 기둥에는 물론, 기둥과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짜 올리던 방식이다.창덕궁인정전 , 창덕궁 인정전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창덕궁 인정전.hwp( 54 )
♢ 서론 : 목조 건축물에 대한 일반적 지식
♢ 본론 : 창덕궁 인정전에 관한 다양한 접근
- 창덕궁 인정전의 歷史(역사)와 개괄
- 창덕궁 인정전의 규모
- 창덕궁 인정전의 건축양식 조사
공포
처마
단청
- 그 외 다른 지식들
♢ conclusion : 현재 목조 건축물의 reality(실태) 와 우리가 文化(문화)재를 관람할 때의 자세 고찰
♢ 서 론
목조 건축물에 대한 자세한 조사를 하기에 앞서 먼저 우리나라 목조 건축물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들을 알아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1999년 3월 19일 영국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가 하회마을과 이곳을 특별 방문한 적이 있다아 국보 18호인 부석사 무량수전(浮石寺 無量壽殿 : 경북 영풍군 부석면)은 13세기경에 지어진 건물로 봉정사·극락전보다 시대가 떨어지는 것이 완연한데도 日本人들은 이 건물이 우리나라에서 최고 오래된 건물이라고 우긴 적이 있다아 다포(多包)식 건축은 고려 말 원나라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건축양식으로 조선시대에는 크게 유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