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평가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7:20
본문
Download : 교사평가제.hwp
교사평가제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평가하는 주체가 교내에서 같이 생활하는 교장, 교감이므로 근무성적평정을 공개하였을 때의 파장을 고려해 비공개로 한다고 하나, 이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해치는 지름길이다.여기에다가 교사 스스로 학생과 학부모의 평가를 수집하여 검토한…(省略)
레포트/사범교육
다. 따라서 근무성적평定義(정이) 평가를 본인에게 공개하여 평가받은 교사들에게 장·단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교사평가제 , 교사평가제사범교육레포트 ,
Download : 교사평가제.hwp( 57 )
설명
든 교사가 능력 있는 교사가 되는 방향을 추구해야 한다.
넷째, 근무성적평定義(정이) 평가 결과가 본인에게 공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기존의 근무성적평정은 비공개로 되어 있어 자신에 대한 평가결과를 알 수 없다.
교사평가제




교사평가제
,사범교육,레포트
순서
교사평가제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다섯째, 기존의 교사평가제인 근무성적평정은 획일적인 평가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교사 발달 초임교사로서 교직생활을 처음 하여 교직 경력을 쌓아 가면서 퇴직에 이르는 전체 기간 중에 교사로서 필요한 여러 영역과 관련하여 가치관, 신념, 태도, 지식, 기능, 행동에 있어 보이는 양적, 질적인 alteration(변화)
과정을 무시한다.
여섯째, 교장과 교감이 전적으로 교사를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아 교감과 교장이학교의 수십 명 또는 백여 명이 가까운 교사 개인의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등에 일일이 파악하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아 또, 승진을 바라는 교사는 명절 때가 되면 가족 대신에 교장, 교감의 집을 찾아다니느라 바쁘다. 교사의 성장이나 발달 수준, 그리고 담당하고 있는 업무에서 교사들 간의 차이가 있다아 조금 더 자세히 말하자면,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보직교사와 일반교사 등의 차이를 지금의 제도로서는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평가라는 것은 더 나은 수준으로 도달하기 위한 마지막 관문이며, 이를 통해 자신의 장, 단점을 숙지하여 improvement(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늘 접촉하고 있는 동료교사나 부장교사들을 교사평가에 참여시키는 방안(方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는 교사평가가 되도록 교사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이에 적절한 다양한 평가도구가 활용되어야 한다.